논밭, 야산 밀고 세운 창원국가산업단지가 지난 4월 1일 설립 50주년을 맞이했다.
이를 기념해 창원시는 오는 23일부터 27일까지 ‘창원국가산단 50주년 기념 주간’을 지정하고 다양한 행사 개최와 함께 미래 50년을 위한 새로운 비전 및 마스터플랜도 발표할 예정이다.
1974년 4월 1일 설립된 창원국가산단은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 기계공업의 요람으로서 국가의 고도 경제성장과 번영의 한 축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시설 노후화와 국내외 경제여건 악화, 탈원전 정책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조금씩 명성을 잃어가고 있었다.
민선 8기 시정에 들어서 방산을 중심으로 조금씩 온기가 돌더니 2023년 생산액은 사상 처음으로 60조 원대를 돌파했고, 수출액은 180억 불대를 기록하는 등 창원국가산단은 변곡점을 맞고 있다.
◇ 창원국가산단의 탄생은?
1970년대 초까지 우리나라 경제는 경공업 수출이 떠받치고 있었지만 다른 개발 도상국들의 해외 시장 진출이 확대되면서 경공업 경쟁력은 한계에 부딪혔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자 박정희 대통령은 1973년 1월 신년사를 통해 ‘중화학공업화’를 선언하고, 그해 6월 기계, 조선, 화학 등 6대 전략업종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공업단지 조성이 필요했다. 전국의 여러 후보 도시를 두고 저울질하던 중 △동남권 주변도시와 교통이 편리하고 △중량물 공장건설이 적합한 지반과 공업용수, 생활용수 등 취수가 용이하며 △주거용지 공급이 원활한 점 등 산업입지로서 월등한 조건을 갖춘 창원지역이 선정됐다.
1973년 9월 박 대통령의 '창원기계공업기지 건설에 관한 지시'가 하달되고, 이듬해 4월 1일 건설부 고시 제92호에 따라 창원국가산단의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됐다.
창원은 호주 캔버라시를 모델로 삼아 국내 최장 직선도로인 13.5㎞의 창원대로를 기준으로 남쪽에는 창원기계공업기지를, 북쪽에는 주거단지를 배치한 `직주분리'의 도시구조가 그려졌다.
당시 규모는 1,400만 평의 주거지역과 300만 평의 공장용지로 구성됐다. 논과 밭, 대지, 임야 등이 모두 공장용지로 조성된 후 새로운 터전 위에 공업용지, 주거용지 및 공공용지로 구분해 시설이 건설됐다.
◇ 산단 성장과 위기
1975년 밸브를 생산하는 부산포금이 가동한 것을 시작으로 70년대 후반에는 금성사, 대우중공업, 기아기공, 한국종합특수강, 부산제철, 삼성중공업 등 대형업체들이 들어서면서 창원국가산단은 기계공업의 메카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산단은 중화학공업 육성 및 수출 100억 불 달성이라는 1970년대 정부 목표 등과 맞물리며 성장을 거듭했다. 입주업체들의 생산과 수출은 1975년에 각각 15억 원과 60만 불에 불과했던 데서 산업기계, 수송기계 등의 주도하에 생산액은 1994년 10조 원을 넘어 2015년에는 58조 원을 기록했고, 수출도 1987년 10억 불 돌파에 이어 2005년 100억 불, 2012년에는 239억 불을 기록했다.
산단 활성화로 옛 창원시는 당초 계획했던 인구 30만 명이 1989년에 도달했고, 1994년에 40만 명, 2007년에는 5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산단은 근래 들어 노후화 등의 문제에 직면했다. 특히 주력산업은 큰 위기를 맞았다. 방위산업 분야는 어렵게 현상 유지를 해왔으나,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원자력 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산단의 실적도 추락을 거듭했다.
최근 10년 사이 산단 생산액은 2011년에 55조 원을 기록했던 것에 비해 2021년에는 10조 원이 줄어든 45조 원이었고, 같은 기간 수출액은 233억 불에서 123억 불로 줄었다.
◇ 첨단기술 추격자로 시작한 창원산단... 미래의 변화와 혁신 선도자
민선 8기 창원특례시는 창원국가산단 설립 50주년을 맞아 미래 50년 터닝포인트가 될 전략적 비전수립에 돌입했다.
지난해 3월 산업계, 학계, 유관기관 등의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된 ‘창원국가산업단지 50주년 발전협의회’를 출범시켜 창원국가산단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대 왔다.
또 전문 기관 용역 등 폭넓은 의견 수렴을 거쳐 ‘창원국가산단 중장기 마스트플랜’에 대한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중국의 선전 경제특구와 프랑스 그르노블의 자이언트 프로젝트 등을 참고해 세우고 있는 마스트플랜에는 산단의 미래 비전과 전략목표, 목표별 전략과제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시가 바라보는 산단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초지능, 초연결 기반의 디지털 전환이다. 이를 뒷받침 할 국비사업도 올해 대거 확보했다. △차세대 첨단 복합빔 조사시설 구축 기본설계비 △기계·방산 제조 디지털전환(DX) 지원센터 △수소 기반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타당성 조사 용역비 △방산부품연구기관 추진전략 연구 △제조산업 특화 초거대 제조 AI서비스 개발 및 실증 등이며, 사전 절차가 순조롭게 이행될 경우 추가 확보가 예상되는 총 사업비는 1조 2,547억 원에 달한다.
특히, 차세대 첨단 복합빔 조사시설 구축사업은 전액 국비사업으로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시 총사업비는 5,000억 원, 연간 운영비 200~300억 원이 지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첨단 복합빔은 크고 무거운 방위·원자력 제품이나 부품을 해체하지 않고도 결함을 확인할 수 있는 산업용 특화 장비다.
시는 이를 통해 고도의 과학기술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방산기업들을 창원으로 유인하고 집적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계·방산 제조 디지털전환 지원센터 구축사업은 총 예상 사업비 310억 원, 이 중 국비는 140억 원이다. 앞으로 이곳은 기초수준에 머물고 있는 스마트 공장을 고도화된 디지털 공장으로 전환해 창원국가산단이 미래 50년을 선도할 수 있게 하는 핵심 지원시설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지멘스와 같은 스마트 팩토리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의 협업도 추진한다.
산단과 시너지를 낼 새로운 국가산단도 창원에 들어선다. 지난해 3월 정부로부터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된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일명 창원국가산단 2.0)’로, 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형 연구시설을 중심으로 기술 혁신, 인재 양성, 공급이 모두 갖춰진 신개념 산단이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 준비가 한창이다.
홍남표 시장은 “2024년은 국가 경제를 견인해 온 창원국가산단이 지정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로, 미래 50년의 대전환을 여는 아주 중요한 시기”라며, “과거의 창원국가산단이 첨단기술의 추격자로 시작해 지금에 이르렀다면 앞으로의 산단은 미래의 변화와 혁신의 선도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창원시는 산단 50년의 성과를 시민과 함께 공유하고 국내·외 전문가 초청 컨퍼런스와 기업인·근로자와 함께하는 음악회, 과거와 현재를 잇는 문화 체험행사 등을 개최한다. 또, 산단 설립 30주년을 기념해 시작된 ‘기업사랑 시민축제’, 그리고 ‘시립합창단 베란다 콘서트’ 등 기존 축제·문화행사도 시기와 테마를 기념 주간에 맞춰 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