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석 의원, “싱크홀 예방 위해 사전점검 연장구간 및 빈도 늘려야”

  • 등록 2024.09.24 20:37:28
크게보기

최근 5 년간 사전 점검한 32 군데에서 싱크홀 발생
검사 대상 구간 총 8 만여 km 중 2.5% 만 점검

[데일리21뉴스]박자연 기자= 윤영석 의원(국민의힘 양산시 갑구, 국토교통위원회)이 국토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싱크홀 예방을 위한 대상 구간 약 8만 5천 km 중 2.5% 정도의 구간만 점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단이 이미 점검한 구간에서는 최근 5 년간(2019~2023 년) 32건의 싱크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단이 전체 관리하는 도로연장이 총 8만 5천km 인이며 올해 점검 대상 연장구간은 2,286km 이다.

 

이는 전체의 2.5%에 해당하며 전체 연장구간을 검사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은 40여년에 육박한 것으로 계산된다.

 

공단은 연장구간을 2026년 4,200km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해당기준으로도 검사 구간은 전체의 5%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연장 구간을 확대하고 이를 뒷받침할 인력 및 장비를 대폭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윤 의원이 국토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전국 지자체 17군데에서 총 957건의 지반침하가 발생했고 공단이 점검하는 15군데 지자체에서 총 791건의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침하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은 하수관 손상이었고 그 뒤로 다짐(되메우기) 불량, 굴착공사 부실 등이 뒤이었다.

 

특히 국토안전공단에서 최근 5년간 싱크홀 방지 사전 탐사를 실시한 곳 중 사고가 발생한 곳은 32곳으로 나타났다. 이중 광주광역시가 9곳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뒤이어 경기도 7곳, 충북 5곳, 인천 4곳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싱크홀 방지 사전 탐사를 실시한 곳 중 사고가 발생한 곳 중 지반탐사 후 사고발생까지 짧게는 약 2개월, 길게는 약 6년 2개월, 평균 2년 2개월만에 싱크홀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탐사주기를 줄이고 탐사 연장구간을 대폭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윤 의원은 “최근 한반도에 폭우가 잦아 지반이 약해졌을 뿐 아니라 지하 공사를 자주하고 노후된 하수관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싱크홀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라며, “인력, 장비 확충 뿐 아니라 지반조사 대상연장을 확대하고 지반조사 검사 주기를 줄이는 등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박자연 기자 ja4jayun@ibusan.co.kr
Copyright @데일리21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38, C1동 501호(우동) | 지사 : 대구시 동구 신암남로146, 4층 (동양블루스카이B/D) 대표전화 : 051-466-0021 | 팩스 : 051-469-0021 | 법인명 : 주식회사 한국미디어언론연합 | 제호 : 데일리21뉴스 등록번호 : 부산, 아00398 | 등록일 : 2020-12-11 | 발행일 : 2020-12-21 | 발행·편집인 : 박자연 | 편집국장 : 황상동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자연 Copyright @데일리21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