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택시연합회 박복규 회장에 대한 지역 법인택시조합 관계자들의 불평이 예사롭지 않다.
재임기간 동안 버스회사를 4개나 인수하는가 하면, 모두가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그의 재산 축적은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고들 말들이 많다.
여기에 지난해 식물단체로 전락해 유명무실한 단체라고 하지만, 박 회장이 전국교통단체총연합회(교단련) 회장으로 추대되고 교단련 정상화에 속도가 붙으면 그의위세는 시간이 지날수록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교단련에 가입하고 있는 단체는 전국개인중대형화물연합회, 전국전세버스연합회, 전국마을버스연합회, 전국자동차검사정비연합회, 한국자동차전문정비연합회, 한국렌터카연합회, 전국자동차매매연합회, 한국해체재활용협회, 전국특수여객연합회로 구성되어 적은 단체는 아니다.
아무튼 법인택시조합 대다수 회원들은 이구동성 박 회장의 장기 독주에 불만을 토로한다. 특히 그가 운용하고 있는 그만의 선거방식이나 선거관리 정비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앞서 퇴진 집회까지 나서는 등 박 회장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의 J조합장은 선거관리 규정에 대한 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로 법적 투쟁도 불사한다는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의 철옹성은 세월만큼이나 단단해 변화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다는 여론이 팽배하다.
박 회장의 멈추지 않는 독주는 임기가 만료되는 내년 3월까지 무려 25년이다. 수많은 업적을 남기고도 18년을 독재 대통령이라는 오명을 쓰고 민주주의를 역행한 인물로 기록된 고 박정희 대통령을 넘어선 대기록이다.
어쨌든 지금 택시업계의 상황은 최악이다. 물론 그가 잘한 일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가 재임하는 기간 동안 총체적 몰락과 쇠퇴의 길을 걸어 온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역시 임기 내내 무엇을 잘못되었고, 간과했는 지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이야말로 새로운 수장이 새로운 각오로 도약의 불을 지펴야 할 것이라는 게 대다수 택시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어느 단체든 조합원의 행복과 불행은 함께 공유해야 한다. 고집스럽게 득세하지 말고 아픔도 함께 나눌 줄 아는 그런 사람이 운전대를 잡아야 할 때가 지금이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