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장은 지난 21일 오전 11시 세종정부청사에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장관으로부터 대한민국 제17호로 지정된 국가중요농업유산 ‘창원단감농업’의 지정패와 지정서를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공식명은 ‘창원 독뫼 감농업’으로, 독뫼는 나지막한 산지를 뜻하는 말로 단감농업지역인 동읍, 북면, 대산면 일대가 과거 얕은 바다였고 1960년대 주남저수지 제방 정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광범위한 습지인 동시에, 낙동강의 잦은 범람으로 침수가 빈번해 지역민들은 부득이 피해가 적은 산지에 감농업을 이어왔다. 이상적인 기후와 이런 산지농업은 위험하지만, 서리와 안개 피해가 방지되고 일조 요건을 좋게해 창원시를 세계 1위 단감도시로 성장하게 했다. 지역민의 생계유지를 위한 핵심 농산물로 고유한 농업기술과 독특한 생활문화를 간직하고 계승 발전되고 있다. 또한 창원은 기원전 1세기 유적지인 동읍 다호리고분군 유적지에서 제기 위에 담긴 감 3개가 발견됐다.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대동지지 등 수많은 옛지리서에 ‘창원은 감의 주산지이고, 감이 토산품이다’고 기록돼 있는 등 오랜역사를 지닌 곳으로 기후와 수요변화에 따라 떫은
창원시는 2일 오전 8시40분 시청 정문 앞에서 허성무 시장과 창원단감축제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단감 특례시 홍보사절 출정식’을 갖고, 단감 4t을 경기권 3개 도시로 실어보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지난 4월 23일 열린 전국특례시시장협의회 출범식에서 체결한 4개 도시 농수특산물 공동마케팅 업무협약의 첫 번째 이행과제이며, 창원시의 특산물인 단감을 수도권 지역에 소개하고 판로를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5월 수박에 이어 ‘창원단감’이 창원시 두 번째 특산물로 결실을 맺게된 것이다. 시는 2022년 1월 13일 특례시로 함께 태어나는 공동운명체인 고양·용인·수원시와의 우호증진을 목표로 시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난달 말까지 사전 예약을 받았다. 창원단감은 국내 최대 생산량과 재배면적을 자랑하고 있으며, 기후가 온난하고 계절적 변화가 뚜렷한 분지형의 토심이 깊은 마사질과 양토에서 재배되어 광택이 많고 외관이 좋고 당도도 매우 높아 맛과 품질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허성무 시장은 “창원 대표 농산물이면서 제철 과일인 ‘창원단감’을 특례 우호